석박 대학원생/연구거리

산업연관분석 (Input-output analysis) 이란? 간접적 경제적 편익에 대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Job생각 2021. 8. 6. 13:30
728x90
본 글은 경제성 분석에 자주 사용되는 산업연관분석에 대해 정리한 내용입니다. 요즘은 잘 쓰이지 않는 추세이지만, 취업유발효과나 생산유발효과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알 수 있어 기사화하거나 수치로 공론화하기 좋아 유용하게 사용되어온 방법론입니다.
엑셀을 이용해 간단히 분석하는 툴도 개발해서 요긴하게 사용해왔는데, 추후 함께 공유해볼게요.

 

산업연관분석 결과의 대표적인 활용 예시 (맹신은 금물!!!)

 

산업연관분석 (Inter-industry analysis)은 투입산출 분석(Input-output analysis)이라고도 일컬으며, 생산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산업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수량적으로 파악하는 분석방법이다. 국가 경제 하에서 각 산업은 재화 및 서비스를 구입하고, 생산한 상품을 다른 산업들에게 판매하는 과정을 통해 상호 연관관계를 맺게 된다.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이러한 상호 연관관계를 수량적으로 분석한다.

산업연관표는 1년동안 이러한 산업 간 거래관계를 일정한 원칙에 따라 행렬 형식으로 기록한 통계표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은행에서 정기적으로 발간하고 있다.

산업연관분석은 거시적 분석이 미치지 못하는 산업과 산업 간의 연관관계까지도 분석이 가능하여. 세부적인 경제구조를 분석하는 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산업연관분석에서는 내생변수와 외생변수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 외생적인 힘이 될 변수를 따로 빼내어 그 변수가 내생적인 경제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외생화라고 일컫는다. 외생화를 통해 총 수요가 아닌 특정 산업 부문의 산출물이 미치는 영향과 그 산출물이 다른 산업에 유발하는 효과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아래는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취업) 유발효과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생산유발효과

생산유발효과란 산업에서의 생산이 1원 만큼 증가하였을 때, 해당 산업 부문을 제외한 타 산업에서 생산이 몇 원만큼 유발되는지를 일컫는다.

일반적인 수요유도형 모형에서 분석대상 산업 부문 (이하 K부문)을 외생 화한 행렬에 상 첨자 'e'를 붙여 생산유발효과를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식 (1)을 통해 대상 산업 부문을 중심으로 한 생산유발효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산업 부문의 산출이 경제 내 타 부문의 산출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효과를 살펴볼 수 있다.

728x90
부가가치 유발효과

최종수요 발생이 국내 생산을 유발하고, 생산활동에 의해서 부가가치가 창출되어 결과적으로 최종수요의 발생이 부가가치 창출을 유발하게 된다.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최종수요의 한 단위 변화가 부가가치 부문의 증감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일컫는다. 

특정 산업 부문의 산출량 증가가 다른 산업 부문에 미치는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도출하기 위해, 최종수요의 변동이 없다는 가정 하에 대상 산업 부문을 외생 화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유도된다.

식 (2)를 통해 대상 산업 부문의 산출액 증가에 따른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취업유발효과

최종수요로 인해 유발되는 생산은 다시 노동수요를 유발하므로, 최종수요와 노동수요 유발을 연결시킴으로써 취업유발효과를 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취업계수와 생산유발계수를 기초로 취업유발계수를 도출한다.

 

산업연관분석의 실생활 예시들!










출처

국회 예산정책처. (2008). 「연구개발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에 대한 메타평가」

권영주, 임슬예, 유승훈. (2014). 차세대 해양생물 유전체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한국혁신학회지한국 혁신 학회지, 9(2), 117-138

유승훈. (2007).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심층수 산업화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20(4). 1345-1357

중소기업청. (2013). 「에너지 자원 활용 산업[시장] 분석」

한국은행. (1987). 「산업연관분석 해설」

국가 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http://www.ntis.go.kr/)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http://ecos.bok.or.kr)

 

300x250